
어려운 해외직구, 이제 쉽군하게~!
안녕하세요,
쉽고 안전한 해외직구를 책임지는
쉽군입니다.
최근 주류를 해외 직구하는 경우가
급증하고 있다고 해요.
문화일보 보도에 따르면,
2021년 약 2만 건이었던 해외 주류 직구가
2023년에는 약 84만 건까지 늘어났어요.
위스키, 와인, 사케 등 다양한 해외 술을
직접 사는 사람들이 빠르게 증가 한 셈이죠.
특히, 희귀하거나
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제품은
더 합리적인 금액으로 살 수 있어요.
현재 위스키, 와인, 사케 등 주류는
온라인을 통해 사거나 팔 수 없지만,
이런 시대 흐름에 따라 국내에서도
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요.
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!
이번 포스팅에서는
위스키를 직구할 때
꼭 알아야 할 주의 사항을 살펴볼게요.
잠깐! 세금 종류 설명!
[관세란?]
해외에서 우리나라로 물건이 들어오면서
통관 시에 내야 합니다!
[부가세란?]
= 부가가치세 줄인 말
우리나라에서 물건이나 서비스를
살 때 소비자가 냅니다.
[주세란?]
술에 붙는 세금입니다!
[교육세란?]
다른 세금에 덧붙여서 걷는,
교육을 위한 세금이에요.
보통 주세 같은 특정 세금에
붙어서 딸려와요.

주류 직구 전, 꼭 확인 필수!
한국에서 위스키는 '주류(증류주류)'로 분류해
일반 제품과 다르게
통관이 까다롭고 제한이 많아요.
하지만 쉽군과 함께 천천히
그리고 명확하게 한번 알아볼게요.
세관에선 다음의 두 가지 경우로
나눠서 세금을 부과합니다.
찬~찬히 같이 보실게요!
첫째! 구매한 위스키가
150달러 이하,
1L 이하 (1병)인 경우
이런 경우, 세관에서는
'자가소비용'으로 간주합니다.
그게 뭐냐구요?
"네가 직접 소비할 용도니까
세금을 적게 내라고~"
= 관세, 부가세는 면제!
= 주세, 교육세만 내면 됩니다!
1. 주세 = 과세가격 * 72%
2. 교육세 = 주세 금액 * 30%
즉, 첫 번째 경우엔
[과세가격 * 93.6%]
하시면 대략적 금액이 나옵니다.
여기서 잠깐!!!
과세가격이란?
①물품비용,
②구매한 국가 내의 배송비,
③구매한 국가에서 부과하는 세금,
④한국까지의 운임
등을 전부 포함한 금액입니다.
즉, 해외에서 물건을 사서
한국으로 보낼 때 드는 비용 전부를 일컬어요!
둘째! 구매한 위스키가
미화 150달러 이상이거나
1병 이상인 경우
관세, 주세, 교육세, 부가가치세
전부 합해서 내야 합니다!
1. 관세 = 과세가격 * 20%
2. 주세 = (과세가격 + 관세) * 72%
3. 교육세 = 주세 금액 * 30%
4. 부가가치세
= (과세가격+관세+주세+교육세) * 10%
즉 전부 합해 계산해 보면,
과세가격의 155.55% 정도가 추가됩니다.
너무 복잡해요.
더 쉽게 쉽군으로
자가소비용인 경우가 해당되지 않는다면
술값보다 과세 금액이 더 비쌀 수도 있지만,
국내에서 몇 개 없는 희귀한 종류나
아예 팔지 않는 종류라면
더 합리적인 경우도 많이 있으니
금액 비교 꼭 해보시길 추천드려요.
잠시만요!
국가에서 제공하는 관세 계산기를 이용하면
더 편리하고 간단하게
과세 금액을 조회해 볼 수 있어요.
"해외직구물품 예상세액 조회시스템"
검색하시면 나옵니다!

술을 파는 국가 선택,
구입물품은 "식품/의약품_해당술"
세율 종류는 "기본관세" 또는 "해당FTA"
총 과세가격은 "물건값+현지배송비"
"입력한 예상 세액 추가" 클릭!
여기서 총 세액 보시면 되는데요,
어디까지나 예상이기 때문에
실제로 부과되는 과세 금액은
달라질 수 있어요!
이거 다 너무 어렵고 복잡하고 모르겠다..?
그냥 쉽군 카카오톡에 물어보세요!
📌 쉽군 팁
실제 구매할 제품의 해외 사이트 링크,
또는 술의 이름 등을 알려주시면
도수, 용량, 금액에 따라 달라지므로
쉽군에서 확인하고 알려드릴게요!
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?
쉽군 카카오톡 고객센터에서
바로 해결해 드릴게요!
채널 검색

'쉽군 > 쉽군으로 직구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와인 사케 해외 직구 시 세금 종류와 세율 계산하기 (0) | 2025.04.18 |
---|---|
해외직구 시 목록통관 일반통관 차이 및 세금 부과 비교하기 (0) | 2025.04.10 |
해외직구 초보 가이드 아무나 쉽게 시작하는 쉽군 추천 (0) | 2025.04.08 |
해외직구 VS 해외구매대행 VS 쉽군 차이점 알아보기 (0) | 2025.04.08 |
해외직구 쉽게하는 사이트 쉽군 사용방법과 사서주라 신청서 작성하기 (0) | 2025.04.08 |